현장스케치 01


 

일부 과학자들은 세기말 즈음, 어쩌면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겨울’이라는 단어가 사라질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기후 위기 시대. 매우 심각한 위기와 도전 앞에서, 탄소중립과 녹색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해야 할 일들이 너무도 많은 상황이다. 현재 우리 정부는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의 녹색성장 기반 마련과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산업-기술-금융이라는 ‘녹색 트라이앵글’ 강화 전략으로, 시대의 주류(Mainstream)가 된 탄소중립과 패권 경쟁, 그리고 미국의 新국제경제 정책과 New 컨센서스에 대응함으로써 First Korea로의 도약과 새로운 경제발전의 발판이 되도록 하는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전략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추진을 위해 연평균 매년 9조 달러의 투입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미 안보 기술 동맹의 핵심 또한 ‘녹색’이다. 지난 4월, 워싱턴에서 진행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탄소중립, 기후 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청정전력, 건설, 수송 등 포괄적으로 협력하는 ‘차세대 핵심 신흥기술 대화’를 신설했다. 50건의 MOU 중 CCUS(탄소포집·활용· 저장 기술) 등 13건이 Clean Energy Technology 분야다. 앨 고어 전 부통령의 방한 당시 나눴던 대화에서도 한국의 역할이 강조됐다. 그는 한국의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IT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점을 일깨우며 세기의 대전환을 선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40% 감축(2018년 대비), 2050년에 이르러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원전과 재생에너지 등 청정에너지의 확대,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감축 혁신기술 도입을 통한 저탄소 산업구조로의 전환, 무공해차 중심의 수송체계 개편, 폐기물을 자원으로 하는 순환 경제 활성화,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기술) 등 구체적인 실행방안도 마련했다. 

우리나라가 기후위기와 지정학적 갈등, 기술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조정 속에서 미래의 안전과 번영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클래스가 다른 국가의 요건을 갖춰나가야 한다. 가장 우선적으로, 지향점을 같이 하는 국가들과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십(Reliable Partnership)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Catch-up State에서 Trend-setting State로의 자세 전환, 대체불가능한 과학기술과 혁신 역량(Indispensable Capability)을 확고히 하고, First Korea로 나아가기 위해 ‘인내자본’과 기술혁신, 긴 호흡의 기업가 정신, 새로운 사고를 지닌 인재 육성 등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